0%

210629_TIL(심심풀이 코딩 문제)

오늘 한 것

코딩 테스트 연습

로또의 최고 순위와 최저 순위

문제 설명

로또 6/45(이하 ‘로또’로 표기)는 1부터 45까지의 숫자 중 6개를 찍어서 맞히는 대표적인 복권입니다. 아래는 로또의 순위를 정하는 방식입니다. 1

순위 당첨 내용
1 6개 번호가 모두 일치
2 5개 번호가 일치
3 4개 번호가 일치
4 3개 번호가 일치
5 2개 번호가 일치
6(낙첨) 그 외
로또를 구매한 민우는 당첨 번호 발표일을 학수고대하고 있었습니다. 하지만, 민우의 동생이 로또에 낙서를 하여, 일부 번호를 알아볼 수 없게 되었습니다. 당첨 번호 발표 후, 민우는 자신이 구매했던 로또로 당첨이 가능했던 최고 순위와 최저 순위를 알아보고 싶어 졌습니다.
알아볼 수 없는 번호를 0으로 표기하기로 하고, 민우가 구매한 로또 번호를 담은 배열 lottos, 당첨 번호를 담은 배열 win_num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. 이때, 당첨 가능한 최고 순위와 최저 순위를 차례대로 배열에 담아서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

제한사항

  • lottos는 길이 6인 정수 배열입니다.
  • lottos의 모든 원소는 0 이상 45 이하인 정수입니다.
    • 0은 알아볼 수 없는 숫자를 의미합니다.
    • 0을 제외한 다른 숫자들은 lottos에 2개 이상 담겨있지 않습니다.
    • lottos의 원소들은 정렬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.
  • win_nums은 길이 6인 정수 배열입니다.
  • win_nums의 모든 원소는 1 이상 45 이하인 정수입니다.
    • win_nums에는 같은 숫자가 2개 이상 담겨있지 않습니다.
    • win_nums의 원소들은 정렬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.

나의 답
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function solution(lottos, winNums) {
const zeroCnt = lottos.filter((v) => v === 0).length;
const myWinNum = lottos.filter((v) => winNums.includes(v)).length;

switch (myWinNum) {
case 0:
return [zeroCnt ? 7 - zeroCnt : 6, 6];
case 1:
case 2:
case 3:
case 4:
case 5:
return [7 - myWinNum - zeroCnt, 7 - myWinNum];
case 6:
return [1, 1];
default:
throw new Error("params error");
}
}

console.log(solution([44, 1, 0, 0, 31, 25], [31, 10, 45, 1, 6, 19])); // [3, 5]
  • 어렵지는 않았다. 괜히 어렵게 푼 기분이 든다.
1
2
3
4
5
6
7
8
9
10
function solution(lottos, winNums) {
const zeroCnt = lottos.filter((v) => v === 0).length;
const myWinNum = lottos.filter((v) => winNums.includes(v)).length;

if (myWinNum === 0) return [zeroCnt ? 7 - zeroCnt : 6, 6];
if (myWinNum > 0 && myWinNum < 6) {
return [7 - myWinNum - zeroCnt, 7 - myWinNum];
}
return [1, 1];
}
  • if가 더 나으려나… 순위 경우의 수가 많으면 if문이 좋을 듯 하다.

감탄한 타인의 답

1
2
3
4
5
6
7
8
9
10
function solution(lottos, win_nums) {
const rank = [6, 6, 5, 4, 3, 2, 1];

let minCount = lottos.filter((v) => win_nums.includes(v)).length;
let zeroCount = lottos.filter((v) => !v).length;

const maxCount = minCount + zeroCount;

return [rank[maxCount], rank[minCount]];
}
  • 어렵게 푼 기분이 틀리지 않았다. 조건문이 필요가 없다. 다만 rank의 경우의 수가 많아지면 if가 나을지도..??

폰켓몬

문제 설명

당신은 폰켓몬을 잡기 위한 오랜 여행 끝에, 홍 박사님의 연구실에 도착했습니다. 홍 박사님은 당신에게 자신의 연구실에 있는 총 N 마리의 폰켓몬 중에서 N/2마리를 가져가도 좋다고 했습니다.
홍 박사님 연구실의 폰켓몬은 종류에 따라 번호를 붙여 구분합니다. 따라서 같은 종류의 폰켓몬은 같은 번호를 가지고 있습니다. 예를 들어 연구실에 총 4마리의 폰켓몬이 있고, 각 폰켓몬의 종류 번호가 [3번, 1번, 2번, 3번]이라면 이는 3번 폰켓몬 두 마리, 1번 폰켓몬 한 마리, 2번 폰켓몬 한 마리가 있음을 나타냅니다. 이때, 4마리의 폰켓몬 중 2마리를 고르는 방법은 다음과 같이 6가지가 있습니다.

  1. 첫 번째(3번), 두 번째(1번) 폰켓몬을 선택
  2. 첫 번째(3번), 세 번째(2번) 폰켓몬을 선택
  3. 첫 번째(3번), 네 번째(3번) 폰켓몬을 선택
  4. 두 번째(1번), 세 번째(2번) 폰켓몬을 선택
  5. 두 번째(1번), 네 번째(3번) 폰켓몬을 선택
  6. 세 번째(2번), 네 번째(3번) 폰켓몬을 선택

이때, 첫 번째(3번) 폰켓몬과 네 번째(3번) 폰켓몬을 선택하는 방법은 한 종류(3번 폰켓몬 두 마리)의 폰켓몬만 가질 수 있지만, 다른 방법들은 모두 두 종류의 폰켓몬을 가질 수 있습니다. 따라서 위 예시에서 가질 수 있는 폰켓몬 종류 수의 최댓값은 2가 됩니다.
당신은 최대한 다양한 종류의 폰켓몬을 가지길 원하기 때문에, 최대한 많은 종류의 폰켓몬을 포함해서 N/2마리를 선택하려 합니다. N마리 폰켓몬의 종류 번호가 담긴 배열 num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N/2마리의 폰켓몬을 선택하는 방법 중, 가장 많은 종류의 폰켓몬을 선택하는 방법을 찾아, 그때의 폰켓몬 종류 번호의 개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

제한사항

  • nums는 폰켓몬의 종류 번호가 담긴 1차원 배열입니다.
  • nums의 길이(N)는 1 이상 10,000 이하의 자연수이며, 항상 짝수로 주어집니다.
  • 폰켓몬의 종류 번호는 1 이상 200,000 이하의 자연수로 나타냅니다.
  • 가장 많은 종류의 폰켓몬을 선택하는 방법이 여러 가지인 경우에도, 선택할 수 있는 폰켓몬 종류 개수의 최댓값 하나만 return 하면 됩니다.

나의 답

1
2
3
4
5
6
7
8
function solution(nums) {
const chooseMonNum = nums.length / 2;
const monArr = [...new Set(nums)].length;

return chooseMonNum > monArr ? monArr : chooseMonNum;
}

console.log(solution([3, 1, 2, 3])); // 2
  • 길고 긴 설명에 비하여 간단한 문제

출처: programmers

Nyong’s GitHub